본문 바로가기
경제&금융

넷플릭스 요금제 총정리

by hello-one 2025. 4. 24.
728x90
반응형

1. 넷플릭스 요금제 총정리 – 2025년 기준

현재 넷플릭스는 4가지 요금제를 운영 중이다. 공유 금지 이후 각 요금제의 차이가 더 명확해졌고, 실제로 어떤 요금제를 선택하느냐에 따라 이용 방식이 꽤 달라진다.

요금제 월 요금 화질 동시 시청 광고 여부 계정 공유
광고형 베이식 5,500원 HD 1명 있음 불가
베이식 9,500원 HD 1명 없음 불가
스탠다드 13,500원 Full HD 2명 없음 추가 요금으로 1명 허용
프리미엄 17,000원 4K UHD 4명 없음 추가 요금으로 2명 허용

예전처럼 친구나 가족과 자유롭게 나눠 쓰는 시대는 지났다. 지금은 1인 1계정이 기본이고, 추가 인원도 유료 전환된 상황이다. 그래서 요금제 선택은 ‘화질, 동시 시청 수, 공유 여부’를 기준으로 실사용 패턴에 따라 잘 따져봐야 한다.

 

2. 내가 써본 요금제별 사용 후기 & 실사용 만족도

광고형 베이식 요금제

처음 계정 공유가 막혔을 때, 나는 가장 저렴한 광고형 베이식 요금제로 시작했다. 월 5,500원이라는 금액이 매력적이었고, 화면 화질도 HD면 충분하다고 생각했기 때문이다.

그런데 막상 사용해보니 광고가 꽤 거슬렸다. 콘텐츠 시작 전과 중간중간 15초~30초 광고가 붙었고, 스킵이 안 되기 때문에 몰입이 잘 안 됐다. 특히 1~2화 정주행하는 콘텐츠는 괜찮지만, 긴 다큐멘터리나 영화 볼 때는 확실히 불편했다.

베이식 요금제

이후 광고 없는 베이식 요금제로 바꿨다. 월 9,500원으로 부담은 살짝 늘었지만, 광고 없이 스트리밍할 수 있다는 점 하나만으로 만족도가 훨씬 올라갔다. 화질도 HD지만 개인적으로는 노트북이나 스마트폰으로 감상하기에 충분했다.

단점이라면 동시 시청이 불가하다는 점인데, 가족이 넷플릭스를 같이 보게 되면 누군가는 ‘시청 중단’ 메시지를 받게 되는 일이 생긴다. 나처럼 1인 시청 중심이라면 괜찮지만, 둘 이상이 같이 쓴다면 제한이 느껴질 수 있다.

스탠다드 요금제

한 달 정도는 스탠다드 요금제도 써봤다. 화질이 Full HD로 올라가면서 TV에서 넷플릭스를 볼 때 확실히 화질이 깔끔해졌고, 2명 동시 시청이 가능해서 아내랑 따로 넷플릭스를 볼 수 있다는 점이 편했다.

추가 계정 1명을 유료로 연결할 수 있어서 부모님 댁 TV에도 연결해드렸는데, 결과적으로 요금 부담이 올라가긴 했지만 가족 전체가 활용하는 느낌이라 만족감은 높았다.

 

3. 요금제 선택 기준 & 추천 대상 정리

넷플릭스를 직접 써보면서 느낀 건, 요금제 선택은 ‘누가, 어디서, 얼마나 자주 보느냐’에 따라 달라진다는 것이다.

추천 요금제 이런 사람에게
광고형 베이식 혼자 간간히 보고, 가격 부담을 최소화하고 싶은 사람
베이식 1인 시청자, 광고 없는 환경을 원하면서 저렴한 요금제를 찾는 사람
스탠다드 2인 가족, 커플 시청자, TV로 자주 보는 사용자
프리미엄 4인 가족, 고화질(4K) 영상 자주 보는 사용자, 추가 계정 공유 필요 시

마무리하며

요금이 오른다는 소식이 들릴 때마다 고민이 되는 넷플릭스지만, 여전히 넷플릭스만의 콘텐츠와 사용자 경험은 경쟁력이 있다고 생각한다.

내가 선택한 ‘광고 없는 베이식 요금제’는 혼자 사용하는 입장에서는 가장 밸런스가 좋았고, 나중에 가족이 함께 이용한다면 스탠다드나 프리미엄도 고려할 수 있을 것 같다.

넷플릭스 요금제가 점점 세분화되는 만큼, 사용 패턴에 맞는 요금제를 잘 고르면 가격 대비 만족도는 충분히 얻을 수 있다. 이 글이 요금제 선택에 도움이 되었길 바란다.

728x90
반응형